車부품업계 덮친 미래차 쇼크
“2025년이면 우리 회사 매출이 반 토막 날지도 몰라요.” 대구에 위치한 한 자동차부품사 총괄 임원이 한숨을 쉬며 말했다. 이 회사는 엔진과 변속기 부품을 만드는데 전기자동차에는 들어가지 않는 부품이다. 9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한국 9000여 개 자동차부품사가 이처럼 미래차 생존 전쟁에 내몰리고 있다. 자동차의 심장(배터리 등), 두뇌(자율주행), 소비 방식(공유경제)이 모조리 바뀌는 변화를 앞두고 있지만 실적 악화가 겹쳐 위기감이 고조되는 상태다.
대구에 위치한 변속기 부품 회사인 A사는 현대자동차그룹의 2차 협력사다. 현대차그룹 물량 비중이 90%에 달해 현대차그룹의 친환경차 전략에 매출이 좌지우지된다. A사 임원은 “5, 6년 후 현대·기아차의 친환경차 생산이 확대돼 (우리 같은 내연기관 부품업체들의) 매출이 급감한다 해도 자체 연구개발(R&D)은 꿈도 못 꾼다”며 “안 그래도 실적이 좋지 않아 계약직 외에 신규 인력도 못 뽑고 있다”고 말했다.
이 회사는 한때 매출 1000억 원을 바라봤지만 현대·기아차의 중국 실적이 악화되면서 지난해 740억 원까지 급락했다. 영업이익도 지난해 적자로 전환됐다. A사는 현대차그룹 외에 미국 상용차 등 다른 내연기관차 기업을 확보하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다. 비용을 줄여보려 인건비가 싼 베트남으로 국내 사업 일부를 옮기기로 했다. 이 회사 임원은 “2, 3년 전만 해도 생각지도 못했던 일”이라며 “2, 3차 협력사가 생존하려면 이런 궁여지책밖에 없다”고 말했다.
A사를 비롯해 한국 9000여 개 자동차 부품사는 100년 만의 자동차 패러다임 변화를 앞두고 위기감과 절박감이 커지는 상황이다. 자동차 시장 침체 사이클과 미래차 투자 시기가 겹쳐 어려움은 가중되고 있다.
미래차 위기감 고조
본보가 현대모비스 한온시스템 만도 등 한국 자동차 부품산업을 이끄는 주요 부품 10개사의 전략·기술 임원을 심층 인터뷰한 결과 이미 국내 자동차 부품 시장은 구조 개편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기아차 울타리에서 벗어나 내연기관 부품이 필요한 해외 시장을 찾고 사업 구조조정에 나서거나 발 빠르게 전기차 신사업으로 전환하는 식이다. 이 과정에서 • 기존 자동차 시장 하강 국면 • R&D 투자비 급증 • 예측 불가능한 미래차 도입 시기 • 기존 수직계열화 붕괴 등이 불확실성을 가중시킨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컸다.
국내 자동차 부품사의 대기업으로 불리는 B사의 전략총괄임원은 “기술이 너무 빨리 변하다 보니 미국에는 대학 연구실 등이 보유한 원천기술 중 서둘러 산업화할 수 있는 것만 찾아 분석해 주는 컨설팅 기관까지 생겼다”면서 “자문료가 연간 200만 달러(약 23억7000만 원)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친환경차, 자율주행차로 갈 것’이라는 방향성만 있지 어떤 기술이 언제 어떻게 기준이 될지 아무도 모르기 때문에 최대한 많은 기술을 보유해 놓고 필요할 때 골라 꺼내 쓰려면 정보와 돈이 모두 필요하다”고 말했다.
문제는 중소 부품사는 기술 변화 정보로부터 소외돼 있다는 점이다. 당장 내일 문 닫을지도 모르는 와중에 기술 정보를 얻는 데 수십억 원을 지불할 수 없는 상황이다. 경북지역의 한 중소 부품사는 “원청 기업이 뭘 개발할지 기다리는 것 외엔 따로 어디에 투자할지 감이 안 온다”고 말했다.
미래차는 ‘쩐의 전쟁’, 밀려나는 부품사
중소 중견 자동차 부품사들은 정보도 없지만 투자 여력 자체가 떨어진 상태다. 올해 1분기 자동차 부품 상장사 중 32.5%가 적자였다. 중견기업 부품사인 C사 관계자는 “현대·기아차 연간 생산량이 800만 대에서 730만 대까지 줄었다는 것은 협력 부품사들엔 보릿고개를 넘어야 한다는 의미”라며 “(투자를 위한) 돈이 많이 필요한 시기에 기존 자동차 시장이 쪼그라드니 이대로라면 다들 4, 5년도 견디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그나마 1차 협력사 일부는 사정이 나은 편이다. 울산에 본사를 둔 배기 관련 부품사 세종공업은 전기차 도입 시 제품 100%가 사라진다는 위기감에 2008년 경기 수원시 광교에 R&D센터를 세웠고 현재 용인시에 자리를 잡았다. 친환경차 센서 등 전동화 부품에 투자해 지난해 매출 비중의 7%까지 끌어올렸다. 전기차 도입 시 제품의 90%가 사라진다는 삼보모터스도 2009년 서울에 연구소를 만들고 감속기(전기차의 속도 조절 부품) 개발에 성공했다. 하지만 이같이 선제적으로 미래차 준비를 한 부품사는 9000여 곳 중 1% 수준이라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르노삼성 한국GM처럼 글로벌 본사가 미래차 전략을 이끄는 완성차의 협력사들은 더 속이 탄다. 르노삼성 협력사 관계자는 “부산공장은 르노그룹이 어떤 물량을 주는지에 따라 생산이 결정돼 협력사가 대응할 여력도 없다”며 “당장 노사 갈등에 따른 생산량 감소로 전전긍긍하고 있어 미래차 대응 전략은 먼 나라 이야기일 뿐”이라고 말했다.
“한국판 글로벌 부품사 키울 정부지원 필요”
협력사 물량 보장해주던 시대 지나… 부품업계 스스로 미래준비 나서게
구체 정책방향 알리고 R&D 지원… 노동유연성 보장, 사업개편 도와야
“매년 협력사에 물량을 보장해 주던 시대는 지났습니다.”
현대자동차그룹 계열 부품사 E사 임원은 최근 협력사 대표들에게 이같이 말했다고 한다. “기존의 수직계열화(완성차 원청-하청 관계) 차원에서 경영 판단을 하지 말고 (현대차 외에도) 다른 업체와 협업해 차별화할 수 있는 길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본보와의 인터뷰에 응한 10개 주요 부품사 전략·기술 임원 중 9개사는 미래차 시대가 다가올수록 기존 수직계열화가 흔들릴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현대차를 비롯한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은 미래차 시장에 대비해 다른 완성차 업체 또는 스타트업과 활발히 ‘동맹’을 맺고 있는 상황이라 기존 협력 관계를 유지하기 힘들 것이라는 지적이다.
미래자동차를 시스템반도체, 헬스케어와 함께 3대 신성장동력으로 꼽은 정부도 국내 부품업계가 스스로 글로벌 고객사를 확보하고 미래 준비에 나서도록 지원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한국 부품사가 제2의 보쉬, 제2의 콘티넨탈 같은 글로벌 부품업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유도하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인터뷰에 응한 부품사 임원들은 “정부가 한국판 글로벌 부품사를 키우려면 ‘찔끔’ 지원 대신 전략적인 연구개발(R&D)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F사 관계자는 “작년에도 자동차 부품사에 3조5000억 원 지원을 발표했지만 주로 대출을 보증해 주거나 골고루 나눠 주기식 지원이었다”면서 “이자비용을 정부가 보조해 주는 지원은 연명하는 기업만 늘 수 있다”고 말했다. G사 임원은 “유럽은 내연기관 판매 중단 시점을 명확히 밝혀 기업들이 충분히 대비할 시간을 줬다. 우리는 친환경차 도입 시기조차 서로 의견이 분분한데 정부가 중장기 정책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장에 개입하기보다 자연스러운 개편이 일어날 수 있도록 측면 지원을 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미국이나 유럽은 자동차 부품사들의 인수합병(M&A)이 시장 논리에 따라 자연스럽게 이뤄지고 있는데 국내에서도 이처럼 자연스러운 재편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글로벌 3대 부품사인 보쉬, 덴소, 마그나 등도 M&A를 통해 사업구조를 개편하고 몸집을 키우면서 선제적으로 미래차에 대응하고 있다.
또 다른 중견 부품사 관계자는 “사업 구조를 개편하기 위해 노동 유연성을 보장해 주기만 해도 숨통이 트일 것”이라고 말했다.
donga AU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