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전기차 30만대 시대,
운행 ‘선배’들 경험담 들어보니…

 

 

022년 9월 국내 전기자동차 등록 대수가 34만7000대를 넘어섰다. 2016년 말 1만여 대에 불과했던 전기차가 6년 만에 30배 이상 커진 셈이다. 전기차 시장이 앞으로 더 확대될 것이란 데 대해 의심을 품는 이들은 없다. 언젠가는 자신도 전기차 오너가 될 것이라고 여기는 이들도 많다.

하지만 “지금 당장 전기차를 살 것인가?”란 질문으로 바꿔 보면 얘기는 달라진다. 충전 인프라는 충분한지, 차량 가격과 유지 비용을 따져보면 경제성은 정말 괜찮은지, 충전 시 최대 주행거리가 짧아 중간에 멈춰 서는 건 아닌지…. 따져봐야 할 것이 많다. 전기차를 둘러싼 다양한 장단점을 체크해 보기 위해 전기차 오너 ‘선배’들의 생생한 경험담을 들어봤다.

 

 


자기 생활권 내
충전소 있는지가 중요!

전기차 구입 희망자들의 가장 궁금한 점은 역시 충전 인프라다. 내연기관 차량이야 기름이 떨어지면 통에 담아서라도 올 수 있지만 전기차는 그럴 수도 없다. 배터리가 다 돼 도로 위에서 오도 가도 못할 수 있다는 건 사실 우려보다는 공포에 가깝다.

11일 환경부에 따르면 10월 기준 전국의 전기 충전기는 17만6701개다. 2018년(2만7300개) 대비 6.5배가량으로 증가했다. 숫자로만 따지면 전기차 2대가 충전기 하나를 나눠 쓸 수 있는 셈이다. 물론 지역별 차이는 있다. 전기차 등록 대수 대비 충전기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세종이었다. 광주, 경기, 서울이 뒤를 이었다. 제주와 인천은 전국에서 각각 3, 4번째로 전기차 등록 대수가 많지만 충전기 비중은 가장 낮았다.

물론 지방자치단체에 충전기가 많이 설치돼 있다고 능사는 아니다. 그래서 전기차 차주들은 절대적인 충전기 수보다는 나의 생활권에 충전소가 있는지를 먼저 따져보라고 조언한다. 이른바 ‘집밥’(집이나 아파트 등에 있는 충전소)과 ‘회사밥’(회사 등에 있는 충전소)이 있는 사람만 전기차를 구매해야 한다는 것이다.

 

현대자동차가 지난해 4월 출시한 아이오닉5는 지난달까지 국내에서만 누적 4만7439대가 팔리면서 국내 전기차 열풍을 이끌고 있다. 현대자동차 제공

 

현대자동차 아이오닉5를 모는 김의태 씨(35·경남 진주시)는 “아파트에 충전소가 있다. 없었으면 안 샀을 것”이라며 “또 회사에도 충전소가 추가로 설치되고 있어서 불편함은 없다”고 말했다. 최일웅 씨(38·경기 고양시)는 “고양시 일산과 인천을 주로 오가는데, 30∼40% 정도 배터리가 남으면 심리적으로 충전을 해야 할 것 같아 조급해진다”며 “살고 있는 아파트에는 충전소가 없지만 회사에 충전소가 있어서 일과 시간에 미리 충전해 놓는다”고 했다.

 


긴 충전 시간은 불편,
이동할 때 신경 써야

평상시 출퇴근이 아닌 장거리 여행은 또 다른 얘기다.

최 씨는 “장거리 이동을 하거나 모르는 동네를 갈 때는 숙소나 음식점에 충전소가 있는지를 미리 살핀다”면서 “충전소 찾기 애플리케이션(앱)을 이용하는데, 가끔 충전기가 고장이 났거나 운영을 안 하는 곳도 있다”고 전했다. 전기차의 확실한 단점 중 하나는 충전 시간이 길다는 사실이다. 내연기관차는 한 번 주유를 하는 데 5분이 채 걸리지 않는다. 전기차 충전은 충전 방식에 따라 크게 급속과 완속 충전으로 구분된다. 완속은 몇 시간이 걸리고, 급속이라 하더라도 적정 수준까지는 15∼30분이 소요된다.

일부 아파트에서는 충전기를 꽂아 놓고 장기간 차를 세워두는 주민들로 인해 다툼이 발생하기도 한다. 김 씨는 “2, 3일 간격으로 퇴근 후에 충전을 하는 것이 패턴이 됐다. 차주마다 특정 시간과 장소를 찾아 충전하는 습관이 생긴다”고 말했다. 최 씨는 “운전 중 힘겹게 충전소를 찾았는데 누가 미리 충전 중이어서 기다려야 하는 경우가 있다”며 “특히 휴게소에서는 간혹 충전이 오래 걸리는 포터 같은 상용차들이 있어 한참을 기다리기도 한다”고 전했다.

완성차 업체들은 충전 시간 단축에 사활을 걸고 있다. 최근 나온 전기차 중에는 15분 안팎 충전으로 50% 이상 충전되는 차도 있다. 최근엔 골목길이나 주택가, 도로변 등에서도 충전할 수 있도록 전기차 충전기를 단 가로등도 개발됐다. 점차 밀도 높고 속도 빠른 충전 환경이 구축돼 가고 있는 것이다.

 

BMW의 i4, 벤츠의 EQA, 테슬라의 모델3(왼쪽 사진부터)는 국내 전기차 시장에서 올해 1000대 이상 팔린 ‘인기 모델’들이다. 각 사 제공

 


낮은 유지 비용은 만족,
통행료 할인도 쏠쏠

전기차는 차량 가격이 비싸다. 하지만 핵심은 유지 비용에 있다. 차주들은 전기차 유지비가 내연기관차보다 30∼50%는 줄어든다고 말한다. 전기차 차주 오영근 씨(41·서울 강남구)는 “고속도로 통행료 50% 할인, 공영주차장 할인 등은 매우 쏠쏠하다”며 “취득세도 최대 140만 원까지 감면되고 자동차세는 모든 전기차가 13만 원이어서 내연기관차보다 매년 수십만∼수백만 원을 아낄 수 있다”고 했다. 전기차는 또 내연기관차보다 부품 수가 60%가량 적다. 오 씨는 “엔진오일을 안 갈아도 되고 부품이 적다 보니 자잘한 고장이 적다”고 했다.

연료비도 덜 든다. 전기차 충전 요금은 충전기가 급속이냐 완속이냐에 따라 다르다. 또 전력사용량이 몰리는 시간대에 사용했는지, 어느 계절에 사용했는지에 따라 충전 가격이 kWh(킬로와트시)당 50∼100원가량 차이가 난다.

본보가 현재 기름값과 차량 연료소비효율, 전기 충전 요금 등을 고려해 분석한 결과 연비가 L당 13km인 휘발유 차량의 100km당 연료비는 약 1만2300원이었다. 연비가 kWh당 약 6km인 전기차로 가장 비싼 ‘급속 충전’을 했을 때는 100km당 연료비가 약 5800원이다. 전기차 충전료가 내연기관차 휘발유 값의 절반이 채 안 된다는 얘기다. 더구나 상대적으로 싼 완속 충전을 활용한다면 충전 요금은 더 내려간다. 최 씨는 “아이오닉5의 경우 2만5000원어치 충전을 하면 400km는 거뜬히 갈 수 있다”며 “과거 중형 세단을 몰 때보다 연료비가 50% 이상 줄었다”고 했다.

환경부는 9월 공공 급속충전기 충전 요금을 kWh당 292.9원(50kW급), 309.1원(100kW 이상)에서 각각 324.4원, 347.2원으로 올렸다. 환경부 관계자는 “전기차 연료비는 50kW 급속충전기로 1회 완충할 경우 2만503원에서 2만2708원으로 약 2200원 증가하게 된다”며 “그래도 동급 내연기관차 연료비의 42∼45% 수준으로 여전히 경제성이 유지된다”고 설명했다.

 


세금 감면 장점이지만,
언제까지 해줄지…

어쩌면 바로 오늘이 전기차가 가장 싼 날일 수도 있다. 정부는 친환경차 보급 확대를 위해 전기차 구매 시 보조금을 준다. 차량 모델과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국고보조금과 지자체 보조금을 합치면 최소 500만 원에서 최대 1500만 원 이상까지 혜택을 볼 수 있다. 문제는 이 보조금이 언제까지 유지되느냐다. 올해는 지난해보다 100만 원가량 전기차 보조금이 줄었다. 보조금을 받을 수 있는 차량 대수를 늘렸지만 내년에도 1대당 보조금은 100만 원가량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주행세 도입도 새로운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화석연료에는 환경 비용 등을 이유로 교통세가 붙는다. 전기차는 이 세금으로부터 자유로웠다. 친환경차가 빠르게 증가하자 국가 전체로 봤을 때는 교통세 수입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 세수 부족 현상은 앞으로 더 커질 게 분명하다. 이에 정부는 전기차 주행거리에 따라 ‘주행세’를 부과하는 내용의 교통세제 개편을 검토하고 있다. 전기차 차주들은 “사실상 전기차의 큰 장점 중 하나가 사라지는 것 아니냐”며 볼멘소리를 내고 있다.

 


진동·소음 없어 좋아
vs 급격한 감속, 불편해

엔진이 없고 모터로만 구동되는 전기차는 진동과 소음이 작아 승차감이 뛰어나다는 평가가 많다. 배터리가 하부에 깔려 있는 구조여서 안정감이 있다는 의견도 있다.

그러나 모두가 같은 생각을 가진 것은 아니다. 특히 전기차의 회생제동 시스템 때문에 승차감 및 주행 느낌이 불편하게 느껴질 수 있다. 회생제동이란 가속 페달에서 발을 떼면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바퀴를 돌리던 운동 에너지를 ‘회수’해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술이다. 이 때문에 가속 페달에서 발을 뗐을 뿐인데 급브레이크를 밟는 듯 급격한 감속을 경험한다. 승차감을 떨어뜨리는 요소라는 지적이 나오는 배경이다. 하지만 국내 완성차 업체의 한 딜러는 “회생제동은 강도를 조절할 수도, 아예 꺼버릴 수도 있다”면서 “전기차 승차감은 고객의 예민한 정도나 과거에 몰던 차종에 따라 제각각이라 구매하기 전에 직접 타고 느껴봐야만 안다”고 조언했다.

김성태 한국전기차사용자협회장은 “공공 충전 인프라가 전기차 증가 속도를 아직은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편의성을 높이는 정책이 실시되면 전기차 수요는 더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충전중 자리 비울땐 연락처 남기고,
끝나면 빨리 자리 양보를

전기차 충전 에티켓은…
전기차 많은 아파트 단지에선
밤새 충전 둘러싼 갈등 비일비재

지난달 전기자동차를 타고 강원 속초로 여행을 떠난 전모 씨(36·서울 송파구)는 숙소 인근 충전소에서 황당한 경험을 했다. 배터리 충전이 70%밖에 안 됐는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에 ‘충전기 커넥터가 빠졌다’는 알람이 뜬 것이다. 숙소에서 급하게 충전소로 달려가 보니 다른 전기차에 커넥터가 꽂혀 있었다.

전 씨는 “휴가로 들떴던 마음이 한순간에 가라앉았다”며 “전기차가 많은 아파트 단지에선 밤새 충전기를 꽂아놓는 등의 비(非)매너로 주민들끼리의 ‘카톡 설전’이 비일비재하다”고 했다. 국내 전기차 보급 대수가 늘면서 충전 문제로 피로감을 호소하는 전기차 차주들이 늘고 있다. 전기차 충전 구역 방해 행위에 과태료를 부과하는 내용을 담은 친환경차법이 1월 28일 시행됐지만 충전을 둘러싼 차주 간 갈등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

친환경차법에 따르면 △일반 차량의 전기차 충전 구역 주차 △급속 충전소에 1시간 이상 주차 △완속 충전기 14시간 이상 이용 등에 대해 100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다. 이전까진 사각지대로 남아있던 아파트나 다세대주택에서도 올해부터는 지자체가 충전 방해 행위를 단속할 수 있게 됐다.

국토교통부와 환경부에 따르면 9월 기준 국내 전기차 등록 차량은 34만7395대이고, 10월까지 보급된 전기차 충전기는 17만6701대다. 충전기 하나를 전기차 2대가 나눠 쓰는 꼴이다. 세계 평균인 충전기 1개당 9.6대(5월 국제에너지기구)를 한참 밑돈다. 갈등의 원인을 충전기 보급 부족으로만 설명하긴 힘들다는 얘기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쾌적한 전기차 문화를 만들기 위한 ‘충전 에티켓’ 확산에 나서고 있다. 환경부가 8월 배포한 ‘충전 에티켓’ 자료가 대표적이다. 충전 중 자리를 비울 때는 연락처를 남기고, 충전이 끝나면 신속하게 자리를 양보하자는 등의 내용이 담겼다. 이항구 한국자동차연구원 연구위원은 “그간 충전 속도가 느린 완속기 위주로 전기차 충전소를 확장해온 데다 보급률만큼 중요한 올바른 충전기 사용 문화 확산에는 상대적으로 소홀했던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변종국 기자 bjk@donga.com
김재형 기자 monami@donga.com

 

포르쉐 타이칸(Taycan) GTS 시승기 – 중독되는 짜릿한 맛

이전 글볼보 EX90 공개 – 새로운 순수 전기차로 삶을 더 풍요롭게!
다음 글벤츠코리아, 첫 고성능 전기차 AMG EQS53 4매틱+ 출시!